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바현 제5구

덤프버전 :


미나미칸토 지방 국회의원
치바현, 가나가와현, 야마나시현
[ 중의원 의원 ]

치바 1구치바 2구치바 3구치바 4구치바 5구
다지마 가나메고바야시 다카유키마쓰노 히로카즈노다 요시히코에리 아르피야
치바 6구치바 7구치바 8구치바 9구치바 10구
와타나베 히로미치사이토 겐혼조 사토시오쿠노 소이치로하야시 모토오
치바 11구치바 12구치바 13구치바 14구가나가와 1구
모리 에이스케하마다 야스카즈마츠모토 히사시공석1시노하라 고
가나가와 2구가나가와 3구가나가와 4구가나가와 5구가나가와 6구
스가 요시히데나카니시 겐지와세다 유키사카이 마나부후루카와 나오키
가나가와 7구가나가와 8구가나가와 9구가나가와 10구가나가와 11구
스즈키 게이스케에다 겐지류 히로후미다나카 가즈노리고이즈미 신지로
가나가와 12구가나가와 13구가나가와 14구가나가와 15구가나가와 16구
아베 도모코후토리 히데시아카마 지로고노 다로고토 유이치
가나가와 17구가나가와 18구가나가와 19구가나가와 20구야마나시 1구
마키시마 카렌야마기와 다이시로공석1공석1나카타니 신이치
야마나시 2구
호리우치 노리코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호시노 츠요시나카타니 카즈마아마리 아키라카네무라 류나아키모토 마사토시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후루야 노리코야타가와 하지메미타니 히데히로아오야기 요이치로시이 카즈오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요시이에 히로유키후지마키 켄타나카야마 노리히로츠노다 히데오나카지마 카즈히토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비례 20
스즈키 아츠시카도야마 히로유키야마자키 마코토야마모토 토모히로타카야 료
비례 21비례 22
아사카와 요시하루사쿠라다 요시타카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2022년에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되어 신설된 지역구임.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치바현 제5구
千葉県第5区
||
파일:shuinsen_Chiba5.svg
선거인 수413,484명 (2022)
상위 도도부현치바현
하위 행정구역이치카와시(중부, 남부), 우라야스시
국회의원

에리 아르피야




1. 개요[편집]


치바현에서 도쿄도와 인접한 서부의 이치카와시(북부 지역을 제외한 전역), 우라야스시를 포함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2023년 보궐선거로 처음 당선된 에리 아르피야.


2. 상세[편집]


부촌이 있지만 사회초년층이 많이 사는 원룸촌으로 이루어진 우라야스시와 침상도시인 이치카와시로 이루어져 있다. 선거구 내에 도쿄 디즈니 리조트가 위치해 있다는 특징이 있다. 전체적으로 민주당이 경합 우세를 보이던 선거구였으나, 46회 중원선을 기점으로 자민당 우세 지역구로 바뀌었다.

민주당 후보로 두 번 당선된 무라코시 히로타미 전 의원은 46회, 47회 중원선에서 연속으로 낙선한 후 2018년 이치카와시 시장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하지만 시장실에 샤워부스 설치와 관용차를 테슬라로 바꾸는 등의 모습을 보여, 2022년 선거에서는 재선에 실패하고 꼴찌로 낙선하였다. 해당 선거의 당선자는 역시 이 선거구에서 당선되었던 다나카 쿄우 전 의원이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파일:Japan_gov_logo.png 치바현 제5구 역대 중의원의원
선거연도의원명소속정당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6년다나카 코[1]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0년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3년무라코시 히로타미[A]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5년소노우라 겐타로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9년무라코시 히로타미[A]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2년소노우라 겐타로[2]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4년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7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1년
2023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2023년에리 아르피야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치바현 제5구
이치카와시 일부, 우라야스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다나카 코67,032표1위


32.25%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카노 마사루62,951표2위


30.28%낙선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나카츠가와 히로사토43,682표3위


21.01%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오아자와 다케시25,586표4위


12.31%낙선
파일:신사회당 흰색.png도요다 카츠히코7,319표5위


3.52%낙선
파일:덕주회.png모토하시 치아키1,311표6위

자유연합

0.63%낙선
유효표 수207,881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치바현 제5구
이치카와시 일부, 우라야스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다나카 코100,292표1위


43.48%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카노 마사루80,093표2위


34.7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나카지마 마코토25,409표3위


11.02%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후지와라 마코토18,258표4위


7.92%낙선
파일:덕주회.png사토 히로미6,610표5위

자유연합

2.87%낙선
유효표 수230,662표투표율
55.40%
선거인 수427,932인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치바현 제5구
이치카와시 일부, 우라야스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무라코시 히로타미76,671표1위


38.95%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소노우라 겐타로64,393표2위
32.71%낙선
尊命다나카 코41,883표3위
21.2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구로사와 히데아키13,919표4위
7.07%낙선
유효표 수196,866표투표율
51.75%
선거인 수391,361인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치바현 제5구
이치카와시 일부, 우라야스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소노우라 겐타로132,691표1위
54.06%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무라코시 히로타미94,528표2위
38.51%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모로오카 도루18,227표3위
5.43%낙선
유효표 수245,446표투표율
62.48%
선거인 수400,722인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치바현 제5구
이치카와시 일부, 우라야스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무라코시 히로타미127,588표1위
49.75%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소노우라 겐타로83,422표2위
[3]32.53%낙선
파일:다함께당 로고.png다나카 코42,379표3위
16.53%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사타카 요시유키3,045표4위
1.19%낙선
유효표 수256,434표투표율
63.37%
선거인 수413,805인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치바현 제5구
이치카와시 일부, 우라야스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소노우라 겐타로81,772표1위
[4]35.31%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무라코시 히로타미51,206표2위
[5]22.11%낙선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기무라 나가토39,653표3위
17.12%낙선
파일:다함께당 로고.png와타나베 고지28,707표4위
12.39%낙선
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아이하라 시노14,913표5위
[6]6.44%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아사노 후미코12,583표6위
5.43%낙선
아카츠카 히로히코2,770표7위
1.20%낙선
유효표 수231,604표투표율
57.86%
선거인 수411,147인

당시 노다 요시히코 내각은 여러 가지 무리수를 써가면서 중의원 해산을 연기하려고 시간을 끌었지만, 여당인 민주당에서 오자와 이치로를 포함한 유력인사들이 미래당으로 분당하면서 중의원 과반수가 힘겹게 된 데다 여론에 밀려 결국 2012년 11월 중의원 해산을 선언하고 말았기애 자민당이 제1정당이 되어서 정권이 다시 넘어갈 거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결국 야권난립으로 민주당 후보의 지지율이 다른 후보에게 분배되고 자연스럽게 자민당 후보가 최다 득표자로 당선되었다. 민주당 후보+모두의당 후보의 지지율이 자민당 후보의 지지율보다 일본공산당 후보에 대한 지지율만큼이나 낮았던 점은 민주당 정권의 3년 실정에 대하여 표심이 자민당 쪽으로 동정적으로 움직였음을 보여준다.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치바현 제5구
이치카와시 일부, 우라야스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소노우라 겐타로105,941표1위
[7]53.80%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무라코시 히로타미57,500표2위
29.2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아사노 후미코28,055표3위
14.25%낙선
이시다 가즈오5,411표4위
2.75%낙선
유효표 수196,907표투표율
49.20%
선거인 수415,510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치바현 제5구
이치카와시 일부, 우라야스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소노우라 겐타로
(薗浦健太郎)
107,299표1위
[8]51.02%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야마다 아쓰시
(山田厚史)
62,894표2위
29.91%낙선
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오카노 준코
(岡野純子)
40,115표3위
19.07%낙선
유효표 수210,308표투표율
49.11%
선거인 수438,691인

현직 의원인 소노우라 겐타로는 요미우리 신문 기자 출신인데, 공교롭게도 지난 총선입헌민주당 후보였던 야마다 아쓰시는 아사히 신문의 베테랑 기자였다. 즉 요미우리 대 아사히의 대결이 펼쳐진 셈. 결과는 소노우라의 승리였다.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치바현 제5구
이치카와시 일부, 우라야스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소노우라 겐타로
(薗浦健太郎)
111,985표1위
[9]46.97%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야자키 겐타로
(矢崎堅太郎)
69,887표2위
29.31%낙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시키 다모쓰
(椎木保)
32,241표3위
13.52%낙선
파일:국민민주당 로고.svg도키타 아쓰시
(鴇田敦)
24,307표4위
10.19%낙선
유효표 수238,421표투표율
54.07%
선거인 수450,365인

현역 자민당 소노우라 겐타로 의원이 재출마한다.

주요 4개 야당들이 모두 후보를 낼 계획이 있다. 입헌민주당은 야자키 겐타로 치바현의회 의원(4선)을 공천했다. 국민민주당은 직전 선거에서 도쿄도 제18구에 출마했던 도키타 아쓰시 전 TV 도쿄 기자를 공천했다. 공산당은 아사노 후미코 공산당 치바현지부 부위원장을 공천했다. 일본 유신회는 시미키 다모쓰 전 의원을 공천했다.

시미키 전 의원의 경우, 치바 13구, 오사카 2구에 이어 3번째로 다른 지역구에 출마하게 된다. 최종적으로는 공산당이 입헌민주당 후보로의 단일화를 위해 후보 공천을 철회, 자민당-입헌민주당-국민민주당-유신회의 4파전 대결이 이뤄진다.

개표 결과, 자민당 소노우라 겐타로 후보가 당선되었다. 지난 총선에 비해 득표율은 4% 감소했다. 야권은 분열되었고, 아무도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로 부활될 정도의 득표율을 얻지도 못했다. 사실상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당시의 도쿄 8구과 유사한 형태의 현상이 벌어진 셈.


4.10. 2023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편집]


치바현 제5구
이치카와시 일부, 우라야스시
득표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에리 아르피야
(英利アルフィヤ)
50,578표1위
30.58%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야자키 켄타로
(矢崎堅太郎)
45,635표2위
27.59%낙선
파일:국민민주당 로고.svg오카노 준코
(岡野純子)
24,842표3위
15.02%낙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기시노 도모야스
(岸野智康)
22,952표4위
13.88%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사이토 가즈코
(斉藤和子)
12,360표5위
7.47%낙선
호시 켄타로
(星健太郎)
6,561표6위
3.97%낙선
파일:정치가여자48당 로고.png오다 미에
(織田三江)
2,463표7위
1.49%낙선
유효표 수165,391표투표율
38.25%
선거인 수451,273인

치바5구 보궐선거 보도 영상

현직 소노우라 겐타로 의원이 정치자금 문제로 2022년 12월 21일에 의원직을 사임하고, 동시에 자민당을 탈당하면서 보궐선거가 확정되었다.

자유민주당은 2020년 보궐선거때와 같이 결격사유가 있는 지역에 무공천을 실시할 전망도 있었지만 모테기 도시미쓰 간사장이 중의원 보궐선거 3석 전체 승리를 목표로 밝혀 이변이 없는 이상 공천을 실시할 것으로 보인다. 결국 2023년 1월 24일, 후보 공모를 시작하면서 본격적인 공천 움직임에 나섰다. 결국 전 유엔 직원인 에리 아르피야(英利アルフィヤ)를 공천했다.#

입헌민주당에서는 저번 중원선에 출마한 야자키 겐타로 전 치바현의원이 출마를 선언하였다.#

일본유신회에서도 2023년 1월 26일,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이바라키 3구에 출마했던 기시노 도모야스(岸野智康)가 출마를 선언했다.#

국민민주당은 2017년에 있었던 48회 중원선 당시 희망의 당 소속으로 출마한 오카노 준코 전 우라야스시의원을 공천했다.#

일본공산당은 47회 중원선 당시 일본공산당 비례대표로 당선되어 전직 중의원 의원으로 활동했던 사이토 가즈코를 공천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입헌, 유신, 국민, 공산 4당이 모두 각자 후보를 공천한데다가 레이와 신센구미도 독자 후보 공천을 검토 중이라 자칫하면 1여 vs 5야라는 야권으로선 매우 고통스러운 선거가 될 전망이다.[10]

무소속 후보로는 나카니시 히로아키(中西宏晃) 전 외무성 직원이 출마를 표명했으나 # 후보 등록을 단념한 이후에 치바 6구에 이어서 오사카 6구에 출마했던 호시 켄타로(星健太郎) 전 이치카와시의원이 후보 등록을 신청하며 선거전에 뛰어들었다. #

하지만 선거 고시일인 4월 6일까지 단일화가 진행되지 않으면서 그대로 여1 vs 야5의 구도가 되었다.

4월 12일 지역 언론의 정세조사에 따르면 의외로 입민당의 야자키 후보가 자민당 에리 후보에 대해 우위에 선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기사1 #관련 기사2 여타 언론에서도 두 후보의 격차가 2~5%p 차 정도로 전망되고 있어 야권 분열 상황 속에서 의외로 이번 보궐선거 최고의 격전지가 될 수 있다.

에리 알피아 후보 본인 소개 영상야자키 켄타로 유세 현장 영상
오카노 준코 선거 유세 현장 영상기시노 도모야스 후보 소개 영상
결국 3% 차이로 에리 후보가 신승했다. 야권 후보들의 표를 합치면 에리 후보의 두 배를 넘지만 야권 단일화 실패로 에리 후보에게 뱃지를 내주게 됐다. 전직 소노우라 겐타로 중의원이 정치자금 문제로 사직해 여당에 귀책사유가 있는 선거였음에도 후보 난립으로 야권이 분패하면서 야당들의 정치력 부재에 대한 질타가 나왔다.

에리 알피야는 일본 국회의원 중 역대 최초로 일본인(야마토인)이 아닌 소수민족 출신 지역구 국회의원이다. 대한민국에서도 이자스민(당시 새누리당, 현 정의당)이 국회의원을 지냈지만 비례대표 의원이였지 지역구 의원이 아니었다.


4.11.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기존 선거구는 인구 상한선에 근접하기 떄문에, 인구 균형을 맞추기 위해 이치카와시 북부 지역 경계를 약간 조정해 이치카와시의 일부를 인접한 4구에 넘겨주었다.

자민당에서는 2023년 4월 보궐선거로 처음 당선된 에리 알피야 의원의 재선 도전이 예상된다.

야권에서도 지난 보궐선거에 출마했던 후보들이 다시 출마를 준비중이다. 입헌민주당에서는 지난 보궐선거에서 3% 차이로 차점낙선한 야자키 겐타로 전 치바현의원이 세번째로 도전한다. 국민민주당에서는 3위로 낙선한 오카노 준코 전 우라야스시의원이 역시 세번째로 도전한다. 유신회에서도 4위로 낙선한 기시노 도모야스 후보가 세번째로 중의원 입성에 도전하는데, 지역구를 한 번 옮겼으므로 치바 5구에서의 도전은 두번째이다.

다만 보궐선거에 후보를 낸 공산당의 경우 아직까지 공천을 하지 않았다. 애초에 보궐선거 후보였던 사이토 가즈코 전 중의원의원이 원래 5구가 기반이 아니었고, 최근 이즈미 겐타 입헌민주당 대표가 공산당과의 제휴에 전향적인 태도를 보여 무공천할 가능성도 있다.



[1]이치카와시 시장[A] A B이치카와시 시장[2] 2022.12.21. 의원직 사직,

탈당
[3] 추천[4] 추천[5] 추천[6] 추천[7] 추천[8] 추천[9] 추천[10] 물론 나눠서 출마할 경우 필패가 확정인 상황이니 선거 직전에라도 후보 단일화 조율에 나설 개연성이 크다.